svchost.exe 여러개 뜨면서 메모리 점유율이 높아지는 경우


 

 

이번글에서는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을 시키지도 않았는되  컴퓨터가 너무 느려서 작업관리자를   확인을 하면  CPU의 사용량이 100% 되거나  또는 메모리 사용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작업관리자의 프로세스 관리 탭을  확인을 하여보면 svchost.exe  파일이 엄청나게 많은   리소스 자원을 잡어먹도 있다는것을 확인을 할수가 있습니다. 

 

svchost.exe 파일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을 하자면  동적라이브러리(DLL) 파일과  운영체제을 연결을 하여주는  파일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간단합니다.   사용자의 컴퓨터의 환경에 따라 여러개의 svchost.exe 파일이 실행이 될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5-10 개정도가 실행이 됩니다.

 

여러개가 실행이 된다고 해서 무조건 문제가 되는것은  아닙니다.  단지  과도하게  CPU 나 메모리 점유율이 높다면 확인을 해보아야 합니다. 

 

점유율이 높게 나오는  원인은  보통 두가지 입니다.    

 

첫번째 원인

윈도우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간혹 이런 문제가 발생을 합니다. 이때는   윈도우의  모든 업데이트를 하여 주던지 자동설정을  수동 업데이트로 변경을 하여 주시면  보통 해결이 됩니다. 

 

그리고  기타 프로그램 특히 HP프린터를 사용을 하는 분들은 해당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되는 경우 이런 문제가 발생을 합니다.  이때는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를 하여 주던지   설정메뉴에서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는 것을 막는 옵션이 있다면  변경을 하여주시면 해결이 됩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는 프로그램이 이런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는  시작프로그램을  모두 사용안함으로  해서 사용을 하여 보세요

 

 

 

두번째 원인

바이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이런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보통 svchost.exe 파일의  철자가 틀리거나  또는 대소문자가 틀린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바이러스 감염을 의심을  해보아야 합니다.

 

해결 방법은  안전모드에서  바이러스 검사를 하고 치료를 하시면 됩니다.    간혹   숙주 파일까지 설치가된 경우에는  해당 파일을 제거를 해도  다시 설치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종류의 파일은  시스템파일로 위장을 하여   기본적으로  표시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백신프로그램에서는  경로명이 표시가 되지만  실제 확인을 하여보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는  탐색기의 폴더옵션에서  시스템파일도 보이도록 설정을 해야합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막어놓고 삭제를 하면  해결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어떤 종류는  계속적으로 자기복제를  하는 경우가 있어서 이런 경우는  포맷을 하는것이 안전합니다.   빠른 포맷도 안되고 로우포맷이나 일반포맷을 해야 해결이 됩니다.

 


 

 

svchost.exe파일과 연결된 프로그램 확인


 

1번째 방법 도스창

 

1.윈도우키 + R 키를 동시에 눌러주세요   그러면  실행창이 표시가 됩니다.

2.텍스트 박스에 "cmd"을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을 하세요

3.도스창에  "tasklist/svc" 입력을 하여주세요

 

 

 

 

 

svchost.exe 파일과 연결된  DLL 정보를 확인을 할수가 있습니다.

 

 

2번째 방법  작업관리자

 

1.Shift+ Ctrl + Esc 키를 동시에 눌러주세요  그러면 작업관리자가  실행이 됩니다.

2.프로세스탭을 클릭을 하여주세요  그리고  "모든 사용자의 프로세스 표시" 을 클릭을 하여주세요

 

 

 

 

 

위의 사진 처럼  정상적인 경우에는  CPU의 사용상태가  보통 0 으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만약 0% 이상인 경우에는  자세한 경로를 확인을 하기 위해서 리소스모니터를  이용해서 확인을  해야 합니다.

 

 

3번째 방법 리소스모니터 확인 하기

 

1.작업관리자 성능 탭을 선택을 하여주세요 그리고 "리소스모니터"을  클릭을 하여주세요

 

 

 

 

 

 

 

 

 

리소스모니터를 이용해서  현재 문제가 되는 svchost.exe 파일과 연결된 모듈을 확인을 할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전체 경로를 확인을 하시고   삭제를 하던지  필요에 맞는  조치를 취하시면 됩니다. 

 

 

 

 

+ Recent posts